한국의학도서관협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는 오픈액세스로 발간되는 동료심사 저널로 한국의학도서관협회에서 발간한다. 본 협회지는 의학도서관 분야의 학술적 지식기반을 확장하고 실무를 발전하는 연구주제에 관한 논문을 게재한다.
1.1. 논문의 종류출판물의 유형은 논문(original article), 종설(review), 단신보고(brief report), 특집기사(special article), 논평(editorial)이다.
투고자의 자격은 한국의학도서관협회의 회원 및 비회원으로 한다.
1.3. 게재 및 심사과정투고된 논문은 본 협회지의 편집위원회가 위촉한 복수의 심사 위원들에게 심사받는다. 논문의 게재 여부는 심사위원의 심사 결과에 따라 결정하며, 채택된 논문은 최종 논문의 접수순으로 발행한다.
1.4. 중복 게재 및 무단 게재다른 저널에 게재된 논문은 편집위원회에서 승인한 이차 출판을 제외하고는 출판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차출판은 학위논문이나 학회발표 자료를 수정 보완하거나, 원본의 논문을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연구결과를 전달하는 것에 해당한다.
1.5. 출판 및 게재료편집위원회에서 초청한 논문을 제외한 모든 논문에 대하여 논문 게재와 출판에 관계된 비용을 받을 수 있다. 논문의 처리비용은 출판 전 해당 저자에게 안내된다.
1.6. 연구윤리모든 논문은 본 협회지의 연구윤리 규정을 따르며, 연구윤리를 준수할 것을 명시해야한다. 연구참여자에 대한 동의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를 승인에 관한 사항을 명시한다. IRB 대상이 아닌 연구에는 연구참여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음을 표현하고 면제사항을 밝힌다.
1.7. 편집위원회의 역할논문의 투고 및 편집에 관한 모든 사항은 편집위원회에서 담당하며, 저자에게 관련 정보를 안내하고 정정 요구 등을 할 수 있다. 모든 논문은 투고 이후 심사 및 출판 과정에서 반환되지 않으며, 제출한 논문의 철회는 편집자에게 연락하여 요청해야 하며,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다.
1.8. 저작권본 협회지에 게재된 모든 논문은 「저작권 및 라이선스 동의서」를 작성하여 한국의학도서관협회에 제출해야한다. 게재확정이 된 논문들의 저작권은 Creative Commons (http://creativecommons.org)의 CC BY-NC(저작자표시 비영리) 라이선스를 참고한다.
1.9. 데이터 가용성저자는 연구 결과의 투명성과 재현 가능성을 높이고 확장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데이터의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논문에 명시할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데이터출처/저장위치]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는 “연구 데이터에 대한 요청은 교신저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1.10. 중복 출판 및 표절저자는 타인의 연구 결과나 아이디어를 사용할 때 반드시 출처를 명확히 인용해야 하며, 자신의 연구 결과를 재사용할 때도 적절히 인용하고 이를 편집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이는 이미 출판된 자료나 출판을 위해 평가 중인 연구에도 해당한다. 본 협회지는 투고된 논문에 대해 한국학술지 인용색인(KCI)의 논문 유사도 검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본 협회지는 연 1회(12월 31일) 발간하며, 편집위원회는 원고를 연중 상시 접수한다. 원고의 접수일은 편집위원회에 제출된 날짜로 하며, 원고가 채택되면 심사를 거쳐 수정이 완료된 날짜를 기준으로 한다.
원고의 투고는 온라인투고시스템인 JAMS(https://jkmla.jams.or.kr/)를 이용한다. 투고 시 교신저자는 저자점검표를 확인한 후 원고파일과 표지파일을 제출한다.
원고는 A4크기 용지에 MS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작성하며, 파일형식은 텍스트(.doc)이다. 그러나 한글 워드프로세서 작성한 텍스트 파일형식(.hwp)도 허용한다. 글자 크기는 11point, 행간은 200% 또는 2줄 간격, 왼쪽 정렬로 작성하고 페이지 번호는 순차적으로 부여한다. 원고의 여백은 상단, 하단(2.5 cm), 좌우(3 cm)로 작성한다.
논문의 구성은 표제지(title page), 초록(abstract)과 주제어(key words), 본문(texts), 감사의 말씀(acknowledgements), 참고문헌(references), 표·그림(table & figure), 그림 설명(legends)의 순으로 한다.
본문은 서론(introduction), 연구 방법(method & materials), 연구 결과(results), 논의(disccusion), 결론(conclusions), 참고문헌(references)의 순서로 구성된다. 다만, 논문의 종류가 종설과 특별기사인 경우에는 본문의 내용을 고려하여 구성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에는 별도로 번호를 붙이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논문 전체에 통일된 일정한 순서에 따라 번호를 매겨 항목을 서술할 수 있다(예: 1, 1), 가), ......의 순).
학술용어는 가능한 국문으로 작성하고 번역이 어려운 경우에만 영문 또는 한문으로 작성할 수 있다. 논문에 약어를 사용할 경우, 제목과 초록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본문에서 약어를 처음 사용할 때는 정식 명칭을 먼저 기재하고, 괄호 안에 약어를 표기한 후, 이후에는 약어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인명, 지명, 및 기타 고유 명사는 가급적 원어를 사용하며,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측정 단위를 기재할 때는 국제 표준 SI (Systeme International) 단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길이는 미터(m), 질량은 킬로그램(kg), 시간은 초(s) 등으로 표기한다. 필요에 따라 SI 단위 외의 다른 단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석으로 설명한다. 장치와 기타 제품의 이름은 일반명을 언급한 후 괄호 안에 브랜드명과 제조업체 이름을 포함한다(예: SPSS softwar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IBM Corp., Armonk, NY, USA)). 통계적 표기에서는 소수점은 그 값이 1을 초과할 수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고, 1을 초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지 않는다(예: t = 0.26, F = 0.92, p = .001, r = .14, R² = .61).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 값은 소문자로 표기하며, 각주를 달지 않고,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그대로 기재한다(예: p = .003. p 값이 .000인 경우에는 p < .001"로 표기).
원고유형 | 초록(단어) | 본문(단어) | 그림과 표(개) |
---|---|---|---|
원저 | ≤250 | 3,000 | 6 |
종설 | ≤350 | - | 6 |
특집기사 | ≤350 | - | - |
단신보고 | ≤150 | 1,500 | 3 |
표제지에는 아래의 내용을 명시하며, 자세한 내용은 「표지 작성요령」을 참고한다.
논문저자로 원고에 나열한 사람은 저자로서 자격이 있어야 한다. 저자들은 연구 수행 과정에서 다음의 절차에 함께 참여해야 한다. 그외 저자로 인정되지 않지만 연구에 기여한 사람들은 감사의 말씀(acknowledgements)에 명시한다.
원고의 첫 페이지에 논문의 제목 이후 영문초록을 작성한다. 영문제목의 정관사(The)는 삭제하고 단어의 첫 자는 대문자로 한다. 초록은 250단어 이내(제목과 저자명을 제외하고)로 한 문단으로 기술하며 참고문헌을 인용하지 않는다. 원고의 주제어(Keyword)는 초록 아래에 3~5개로 표기한다. 첫 단어는 대문자로 기재하며, 알파벳순으로 정렬한다.
4.5. 본문표와 그림은 한국어로 작성하며, 총 10개 이내로 제한합니다. 표와 그림의 내용은 중복되지 않도록 하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표와 그림은 본문에 인용된 순서에 따라 아라비아 숫자로 번호를 매기며, 관련된 본문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미 출판된 표와 그림을 사용할 경우, 저작권자의 명시적인 허가를 받아야 하며, 출처는 그림 설명이나 표의 하단에 각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이 자료는 [출처]의 허가를 받아 사용되었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작성 방법은 The NLM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http://www.nlm.nih.gov/citingmedicine)를 따른다. 본문에서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하며, 최대 30개로 제한하며 모두 영어로 표기한다. 저자가 7인 이상일 경우, 처음 6명까지 기재하고 나머지는“, et al.”로 표기한다. 학술지 이름은 약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학술지의 영문명이 명확하지 않으면 해당 문헌을 인용하지 않도록 한다. 가능한 모든 인용에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를 표기한다. 문헌 인용 형식은 아래의 예시를 참고합니다.